2020년을 발 빠르게 준비해보고자 트렌드 도서부터 세미나까지 다방면으로 정보를 수집했습니다. 그런데 문득, 시야를 국내로 한정하고 있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비헤이브글로벌은 한국 브랜드의 글로벌 진출도 돕지만, 글로벌 브랜드의 한국 내 마케팅을 전문적으로 다루기도 합니다. 마케팅 전략이나 소셜 콘텐츠의 타겟은 한국 소비자일 때도, 해외 소비자일 때도 있습니다.
균형을 맞추고자 이번에는 글로벌로 시야를 넓혔습니다. 해외 매체들은 2020년 트렌드를 어떻게 전망하고 있을까요?
"왜 친환경 소비 안 해?"
플라스틱 빨대 옆에 종이 빨대가 있을 때, 비닐봉지 옆에 종이봉투가 있을 때 전자를 고른다면 이런 질문을 듣게 될 것입니다. 환경 파괴에 반대하고, 이를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은 더 이상 취향의 문제가 아닙니다.
테슬라는 올해 2월, 합리적인 가격대의 전기 차인 '모델 3'를 출시했습니다. 아디다스는 2015년부터 해양 환경 보호 단체인 '팔리 포 디 오션(Parley for the Ocean)'과 협업했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를 고성능 의류와 신발로 재탄생시키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중적인(mainstream) 브랜드에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출시하는 에코(eco) 제품은 일상 곳곳에 스며들고 있습니다.
* 관련 기사: 테슬라 전기차 판매량 6년만에 1664% 성장...'모델 3' 美 6위 등극(2019.10.07), 스타벅스부터 아디다스까지… 글로벌 전역서 '플라스틱 프리' 열풍(뉴데일리 경제, 2019.08.19)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은 올해의 인물로 스웨덴의 16살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를 선정했습니다. 그는 2018년부터 시위와 연설을 통해 기후 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2020년은 브랜드뿐만 아니라 개인 스스로도 적극적으로 환경 보호에 관심을 갖고 공부해야 할 때입니다.
나만을 위한 최신 서비스
커스터마이징 제품과 서비스가 주목받은 건 최근 일이 아니지만, 트렌드워칭은 여기에 '지속적인 업데이트 기능'이 더해질 것이라 말합니다.
트렌드워칭은 자율 주행 상용화가 머지않은 자동차 업계를 예로 들었습니다. 기아자동차는 올해 초, '실시간 감정반응 차량 제어 시스템(R.E.A.D. 시스템, Real-time Emotion Adaptive Driving)'을 선보였습니다. 이 시스템은 차량 내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인식하고, 감정과 상황에 맞는 음악과 조명 등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하는 기술입니다.
개인화된 서비스의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장 필요한 분야는 무엇일까요? 바로 ★건강★이죠. 미국의 약품 구독 서비스 베이즈(Baze)는 구독자별 다른 비타민을 처방합니다. 피를 조금 뽑아 회사로 보내면 건강 상태에 맞는 비타민을 배달해줍니다. 비타민 종류는 분기마다 업데이트됩니다.
직장인 번아웃을 경계하자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5월, 번아웃(burnout, 재만 남은 듯한 무기력함과 탈진)을 직장 스트레스 때문에 발생하는 증상으로 정의하고 건강 상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여러 조사 기관은 입을 모아 '20대가 가장 번아웃을 강하게 느끼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 관련 기사: 20대는 왜 '번아웃’에 빠질까(경향신문, 2019.11.30)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은 올해 4월, 회사 임직원과의 대화에서 '996 시스템(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6일 일하는 장시간 근무 시스템)'을 강하게 옹호하여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이에 세계 최대 개발자 커뮤니티 깃허브(Github)는 업무 시간이 지나치게 긴 기업을 제보받는 '안티-996'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 관련 기사: [경제만물상] 중국의 ‘996’ 논쟁(이코노미조선, 2019.04.29)
뉴질랜드는 지난 5월,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춘 '웰빙 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4년간 한화 20조에 가까운 돈을 투자해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돕겠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2020년에 주52시간 근무제가 중소기업까지 확대됩니다. 국가 차원에서 워라밸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니, 브랜드들도 재만 남은 듯한 직장인들의 무기력함과 탈진을 위로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 관련 기사: 뉴질랜드 우울증 인구 16%… 정부 '웰빙 예산안' 편성(데일리투머로우, 2019.10.01)
글로벌 2020년 트렌드는 여러 갈래로 나뉘어 한국의 미래에도 도래했습니다. 같은 트렌드라도 나라마다 다른 모습으로 발현할 테니, 글로벌 기업은 이를 비교해보며 지역화(localization) 전략 수립에 참고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유행에 발맞추고 싶은 개인에게도 시야를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 콘텐츠 모음▼
글로벌 트렌드:
5 Trends for 2020 | TrendWatching Webinar (TrendWatching Youtube)
5 Trends for 2020 (TrendWatching, 위 영상과 같은 내용의 글입니다.)
마케팅:
Are you ready for marketing in 2020? (The Guardian)
소셜 미디어 전략:
How to Create a Winning Social Media Strategy in 2020 (business2community)
Social Media Trends 2020 (TheKeenfolks)